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계설비의 위험점

안전보건관리체계

by 설아짱 2024. 1. 28. 09:00

본문

안녕하세요 설아빠입니다.

 

오늘의 자료는 안전보건관리에서 기계설비의 위험점 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써보려합니다.

 

회사에서 작업자분들 교육할 때의 자료이니 참고용으로 활용바랍니다.

 

 

 

1. 기계설비의 위험점


 기계의 회전운동, 왕복운동 또는 미끄럼 운동, 회전과 미끄럼 운동의 조합, 진동운동 등에 의한 협착점, 끼임점, 절단 
점, 물림점, 접선물림점, 말림점으로 나눌 수 있다. 


 가. 협착점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움직임이 없는 고정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으로 사업장의 기계설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스기, 전단기, 성형기, 조형기, 절곡기(bending machine)등이 있다.


 나. 끼임점


 고정부분과 회전하는 동작부분이 함께 만드는 위험점으로 연삭숫돌과 덮개, 교반기의 날개와 하우징, 프레임에서 아암
의 요동운동을 하는 기계부분 등이다.

 

 

 

다. 물림점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에는 물려 들어가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때 위험점이 발생되는 조건은 회전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로울러와 로울러의 물림, 기어와 기어의 물림 등이 있다.

 

 

 


라. 접선물림점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방향으로 물려 들어갈 위험이 존재하는 점이다. 

예를 들면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켓, 랙과 피니언 등 맞물리는 부분이다.


마. 말림점


 회전하는 물체에 작업복, 머리카락 등이 말려드는 위험이 존재하는 점이다. 예를 들면, 회전하는 축, 커플링, 돌출된 키
나 고정나사, 회전하는 공구 등이 이에 해당된다.

 

 

 

2. 위험점 방호장치의 종류와 특성
 가. 고정 가드(Fixed Guards)
 고정 가드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고정형에는 완전 밀폐형과 재료의 이송 및 배출 등 가공작업을 
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된 가드가 있다.


 ◦ 동력전달부용 가드(완전 밀폐용)

 동력 전달부용 가드 설계 시 고려해야 될 개구부는 윤
활, 조정이나 검사를 위한 것들이며 개구부는 가드로부
터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고정된 커버나 미
닫이 형태가 되어야 하며 사용치 않을 때는 항상 닫혀 
있어야 한다. 또한 동력전달부용 가드는 신체의 일부가 
움직이는 기계부분과 닿지 않게 설계되어야 한다.


 ◦ 작업점용 가드 

 재료의 송급 및 가공재의 배출에 장애가 되지 않고, 작
업자의 손이 안전울에 제어되어 위험점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이 가드는 일차 가공작업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나. 조정 가드(Adjustable Guards)


 방호하고자 하는 위험구역에 맞춰 조절하는 것이며, 기계의 사용 부품에 맞추어 조정하는 가드를 말한다. 


 ◦ 조정 가드(Adjustable Guards)
 이는 고정 가드와 함께 설치하나 작업에 맞게 조절 가능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 자기조정 가드(Self-adjustable Guards)
 자기조정 가드는 재료의 이송에 의해서 가드가 열려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험지역에 작업자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들은 대개 스프링 등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다. 연동 가드(Interlocked Guards)


 가드를 자주 움직이거나 열 필요가 있는 곳에서는 그것을 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불편하며 이 때 가드를 기계식, 전기
식, 공압식 등의 방법으로 기계 제어에 연동시킨다.


 첫째, 가드가 닫혀지기 전까지는 기계의 작동이 시작되면 안되고, 둘째, 가드가 열리는 순간 기계의 작동이 멈추어져
야 한다. 

만약에 완전정지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는 지연 해제장치 (delay release mechanism)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
며 예기치 않은 운동을 막기 위해서는 시동제어(start Control)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연동(interlocked) 가드는 힌지로 미끄럼운동을 하게 설치하고 때때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메카니즘은 신뢰성이 있어야 하며 어떤 충돌이나 사고 등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특히 페일세이프(fail safe)개념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인터록 가드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설치되어야 한다. 

연동방법(interlocking method)은 동력공급방식, 기계의 운전배열, 보호되어야 하는 위험의 정도, 그리고 안전 장치의 작동불량에 따른 결과 등에 따라 선택된다. 

선택된 시스템은 가능한 한 단순하며 직접적인 것이 좋다.

복잡한 시스템은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작동불량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와 보수․유지가 매우 어렵다. 

연동기구(interlocking mechanism)는 동력에 의해 가드를 닫는 경우와 그 자체운동으로 가드를 닫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아래의 방법들은 독립적 또는 조합해서 사용하여 효과를 배가 시킬수 있다.


 ◦ 직접 수동스위치 인터록(Direct Manual Switch or valve Interlocks)
 ◦ 기계적 인터록(Mechanical Interlocks)
 ◦ 캠구동리미트 스위치 인터록(Cam-operated Limit Switch Interlocks)
 ◦ 키 교환시스템 인터록(Key exchange system, trapped key interlocks)
 ◦ 캡티브 키 인터록(Captive Key Interlocks)
 ◦ 시간지연 인터록 (Time Delay Arrangement Interlocks)은 자주 움직이거나 열 필요가 있는 곳에서 설치하는 것으로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등의 방법으로 기계의 작동과 연동시킨다.

 

 라. 자동 가드(Automatic Guards)


 자동 가드는 고정 가드나 연동 가드가 실용적이지 못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작업중인 기계의 위험부분에 접
촉하는 것을 방지해 주어야 하고 위험한 경우 기계를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한다. 자동 가드는 작업자와 무관하게 작동
하여야 하며 기계가 작동하는 한 반복되어져야 하며 연결기구(linkage)나 레버(lever)를 통해 기계에 연결하여 기계에 의
해 작동하게 한다. 


 마. 방호울(Distance Guard)


 위험부분으로부터 적절한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를 말한다. 

작업자가 위험지역내의 접근을 금하기 위하여 고정방벽을 설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방벽의 높이는 2,500㎜정도가 되어야 된다. 

그러나 사정상 방벽의 높이를 2,500㎜정도로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위험점의 높이와 울의 높이 그리고 위험점으로부터 수평거리 C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