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타이어 교체시기와 스노우 타이어

설아짱 2022. 12. 14. 11:15



자고 일어난 밤사이 아침에 눈이 제법 와서 출근길이 꽤 미끄러웠습니다.
전 이런 날은 아침에 조금 더 빨리 일어나서 출근해야 합니다.

 

출근길에 미끄럼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좀 있어서 차가 자꾸 막히거든요.

 

예전의 충주는 별로 막히지 않았었는데 요즘은 퇴근 시간에도 그렇고 차가 밀리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그래도 충주는 지방 도시라 서울처럼 엄청나게 막히지 않아서 남들보다 10분 정도만 빨리 움직이면 지각하는 일이 드뭅니다.

각설하고 오늘은 추운 겨울 자동차 타이어 관리 및 월동준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진정한 차를 알지 못하는 인간으로 차는 엔진오일, 타이어만 교체하고 다른 건 안 건드리고 살았습니다.

자동차 관련 회사에서 근무하는데도 어쩜 이리 모르는지... 예전에 제가 타던 차는 클릭으로 소형차였습니다.
제 운전 습관이 안 좋은지 타이어가 2~3년에 한 번씩 찢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타이어는 원래 이 정도 기간에 바꾼다고 했습니다.
지금은 SUV를 타고 다니는데 5년 동안 한 번도 교체하지 않았음에도 아직 멀쩡해서 잘 타고 다니고 있습니다.
주위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아직 타이어는 쓸만하니까 2년 정도 더 타도 괜찮다고 하더군요.

 

 

 

 


회사 동료 중 겨울철에는 겨울용 타이어를 꼭 사용한다고 해서 그런 게 있었어? 하고 궁금해했습니다.

사람이 겨울에 추우니까 내복을 비롯한 코트, 점퍼, 파카 등을 준비하듯이 자동차도 별도의 월동준비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타이어는 보통 4계절용 타이어입니다.
차를 처음 사게 되면 기본 장착되어있는 타이어죠.

이 타이어는 겨울에 기온이 떨어져 0도 이하가 되면 딱딱하게 되어서 타이어가 바닥에 잘 안 붙습니다.
또 도로에 살얼음이 생기거나 블랙아이스같이 눈에 잘 안 보이는 경우 잘 미끄러지게 됩니다.
이걸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면 마찰력이 증가해 미끄러지는 사고를 줄여주게 됩니다.




위에서 제가 타이어 자주 찢어졌다고 말씀드렸는데 제차를 견인했던 기사분 이야기로는 편 축(편마모)이 너무 심해서 잘 찢어진 거라고 하더군요.
타이어는 보통 대각 방향으로, 그리고 앞뒤로 1년 주기로 바꿔줘야 합니다.
특히 겨울에는 바퀴끼리 마찰력이 차이가 생겨서 오히려 더 위험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전부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는 걸 권장합니다.





제가 차를 SUV로 교체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타이어가 얼마나 닳았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겁니다.


특히 겨울에는 도로 상태가 안 좋아지는 날이 많아서 바퀴 마모가 심해지는데요.
타이어에서 보면 타이어에 보면 세모꼴 표시가 있는데 그게 1cm 정도 닳게 되면 교체하라고 하더군요.
사실 전 타이어에 세모꼴 표시가 있는지도 몰랐어요.

타이어가 땅에 닿는 부분인 트레드 마모 한계선이 1.6mm인데 이것보다 더 닳았다면 바로 타이어를 새로 교체해야 합니다.
겨울용 타이어에도 차이가 있는데요. 


겨울용 타이어가 제동력이 좋은 이유는 수분 흡수와 배출이 잘되는 발포 고무를 사용하고 낮은 온도에서도 경화되지 않도록 컴파운드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아... 그리고 본인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 종류를 확인하는 방법은  타이어 옆면에 진흙, 그러니까 mud의 M과 눈의 snow의 S 마크가 있다면 사계절 타이어입니다.
산과 눈송이 모양이 함께 있으면 겨울용 타이어입니다.

저처럼 마모 한계선이라는 걸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그런 경우 아주 간단하게 바퀴가 닳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얼마 전 라디오에서 들은 건데요.



 

바로 백 원짜리 동전으로 타이어 마모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타이어에 홈에 동전을 거꾸로 끼워줍니다,
이때 이순신 장군 감투가 보이지 않으면 정상이고 반 이상이 드러나면 타이어를 교체할 때가 된 거랍니다.







한 달에 한 번 확인해 줘야 하는데 특히 여름보다는 공기압력을 높게 채워줘야 합니다.
내 차에 타이어 공기압을 얼마나 채워야 하느냐?

 


차 앞쪽 운전석 기둥을 보면 공기압이 표기되어 공기압이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이 수치는 승차감에 맞춰진 수치이기 때문에 보통 10퍼센트 정도 더 넣는 게 좋다고 합니다.
물론 저는 그냥 카센터에 가서 공기압 채워주시라고 하고 채워주세요 하고 끝내주지만요.


마지막으로 스노체인도 착용하면 겨울에 대한 준비는 끝났다고 봐야 합니다.

 



추운 겨울 안전 운전하세요~